/script> 산재 척추(척주) 변형장해 및 척추신경근장해판정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산재

산재 척추(척주) 변형장해 및 척추신경근장해판정 알아보기

 

산재 척추장해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형장해

척추의 변형장해는 압박골절로 인한 척추체의 압박률, 골절 부위 또는 골절형태등에 따라 극도,고도,중등도,경도 경미(5단계)로 구분하여 장해등급을 인정

-하나의 운동단위에 변형이 남은 척추체가 2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가각의 압박류을 합산하여 산정

-추체외 골절은 횡돌기나 극돌기 등과 같이 척추체 외부에 부속되어 있는 뼈가 골절되는 것을 말하며, 치유당시 골절이 확인된 경우에 장해등급 인정

 

*극동 변형장해 : 척추체의 압박률을 합산하여 50%이상

*고도 변형장해 : 척추체의 압박률을 합산하여 30%이상 50%미만, 방출성 골절, 챤스씨 골절이나 그밖에 척추관 침범 골절에 대하여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중등도 변형장해 : 척추체의 압밥률을 합산하여 20%이상30%미만

*경도 변형장해 : 척추체의 압박률을 합산하여 10%이상 20%미만, 천추골에 변형이 남은 사람, 3개이상의 척추체의 추체외 골절이 있는 사람

*경미한 변형장해 : 척추에의 압박률을 합산하여 5%이상 10%미만,2개 이하의 척추체의 추체외골절이 남은 사람

 

 

 

세부측정 방법

-변형이 남은 바로 위,아래 척추체 중 하나가 손상된 경우 손상되지 않은 척추체 길이와 비교

예시1)변형 척추체 요추2번,비교 척추체 요추 1번이 손상된 경우 요추3번 척추체의 길이와 비교하여 산정

-위아래 모두가 손상된 경우 변형이 남은 척추체의 변형된 쪽 추체의 길이와 그 반대쪽 추체길이를 비교하여 압박률을 산정함

예시2)변형 척추체 요추2번,비교 척추체 요추1번-요추3번이 손상된 경우 요추2번 척추체의 변형이 남은 부위 추체길이와 그반대쪽 추체 길이를 비교하여 압박율 산정

 

척추신경근장해

-척추신경근장해는 신경손상에 따라 나타나는 신경증상의 정도에 따라 극도,고도,중등도,경도(4단계)로 구분하여 장해등급을 인정

-척추신경근의 손상 따라 나타나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운동단위별로 구분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운동단위별 기능장해 또는 변형장해 중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하는 장해가 남은 운동단위에 발생한 것으로 봄

 

*극도의 척추신경근장해가 남은 사람 : 척추의 주된 신경근(경추부는 제5번부터 경추 제8번까지, 요추부는 요추 제4번 및 요추 제5번 신경근을 말함)중 1개 이상의 손상으로 뚜렷한 근위축이 있고 중력을 이기지 못하거나 중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능동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

*고도의 척추신경근장해가 남은 사람 : 척추의 주된 신경근 외의 신경근의 손상으로 뚜렷한 근위축이 있고 중력을 이기지 못하거나 중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능동적 운동을 할 수있는 사람

*중등도의 척추신경근장해가 남은 사람 : 척추신경근의 손상으로 뚜렷한 근위축이 있고 중력 또는 어느정도의 저항이 있는 상태에서 능동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

*경도의 척추신경근장해가 남은 사람 : 척추신경근이 손상되었으나 뚜렷한 근위축은 없고 근전도검사,특수검사 등에서 신경증상이 있음이 확인되는 사람

 

#척추 신경근의 손상 중 극도와 고도는 근위축이 뚜렷하고 도수 근력검사에서 중력을 이기지 못하거나 중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능동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Grade 2 정도)로 그정도는 동일하나, 주되 척추 신경근(제5,6,7,8경추, 제4,5요추)의 손상이 1개 이상 있으면 극도, 나머지 신경근의 손상이면 고도로 분류하며 중등도의 척추 신경근 장해는 근위축이 뚜렷하고 도수 근력검사에서 중력 또는 어느정도의 저항 하에서 능동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Grade 3~4정도)에 해당하는 경우이며, 경도는 도수근력검사에서는 정상이나 근전도 검사에서 신경증상이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를 말함

 

[도수근력검사의 평가기준 및 상태]

5 : normal(N)  100%  중력과 충분한 저항에서 능동적 정상범위의 관절운동 가능

4 : good(G)      75%   중력과 어느 정도의 저항 하에서 능동적 정상범위의 관절운동 가능

3 : fair(F)         50%   중력을 이기고 능동적 관절운동 가능

2 : poor(P)      25%    중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능동적 관절운동 가능

1 : trace(T)      10%    근육수축은 일어나지만 능동적 관절운동은 불가능

0 : zero(O)       0%     근육수축의 증거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