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 LSGB(lumbar sympathetic ganglion block) / 신경차단술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일반촬영법

LSGB(lumbar sympathetic ganglion block) / 신경차단술 알아보기

1)  LSGB(lumbar sympathetic ganglion block)

- 요부교감신경절 블록은 하지에 냉감을 느끼는경우 하지의 혈액순환을 개선시겨 통증을 경감 시킬목적으로 시행한다.

 

    Position 및 시술방법

- 환자는 Prone position을 취하며 허리가 펴지게 베게를 복부에 받친다.

- 양쪽 발등에 온도계 센서를 부착한다.

- Ruler를 이용하여 spine mid line에서 lateral쪽으로 6cm,7cm, 8cm인 곳을표시하여 둔다.보통은 7cm를 기준으로 마른환자는 6cm,뚱뚱한 환자는 8cm로 한다(8cm를 넘어가면 Kidney를 찌를 위험이 있어 조심한다.)

- C-arm oblique으로 Scotty dog가 잘보이게 한다

- Target zone oblique에서 표시해둔 곳으로 needle을 천천히 주입한다.

- Needle PA image에서는 pedicle, Lateral image에서는 tip Verterba의 전연에 위치해 있다.

  Level은 보통 L2.3.4를 하는데 남자는L3.4 여자는 L2.3.4에서 시행한다.

- 2% lidocaine  and omnipaque 3 ml each needle 주고 20분을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온도변화가 나타난다.

Lt 30.3 - 29.9 - 28.8 - 29.0 - 29.2 ->29.8

   Rt 30.7 - 30.8 - 32.7 - 33.1 - 33.4 ->33.5

- 99.9% alcohol 3 ml injection

<그림> L-spine 만곡을 따라 진행하는 교감신경 체인의 경로를 보여주는 모식도와 교감신경 체인의 경로와 복강신경총과 aorticorenal plexus와의 연결을 보여주는 모식도.

<그림> Needle transverse process를 접촉한 후 body에 닿도록 미끄러져 들어간다.

 

 

 

『자율신경계*

우리 몸속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이 있으며, 대게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일을 한다. 체내의 항상성은 대부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지배의 길항작용과 상호 보충작용에 의존한다. 자율신경절은 머리, , 복부내에 존재한다. 자율신경에 손상이 생기면 그 신경의 표적 근육은 자극에 대해 정상일 때보다 더 예민해 진다. 자율신경은 증가할수도, 감소할수도 있는 기초 발화율을 유지함으로써 긴장을 유지한다.

 

 1. 교감신경 : 자율신경의 하나로 위급한 경우에 빠르게 대처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감신경의 분지는 아드레날린성 효과를 통해 신체를 조절한다.

이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골격근과 신경으로 가는 혈액양이 늘어나며, heart박동이 빨라지고, 감각도 예민해 진다. 반면에, 내장으로 가는 혈액양은 크게 줄어든다.

 

 2. 부교감신경 : 자율신경의 하나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에너지를 저장해 두기 위한 일 등을 한다. 부교감신경 분지는 콜린성 효과를 통해 신체의 에너지를 보존한다.

이계통의 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내장으로 가는 혈액양이 늘어나, 소화와, 배설등이 활발히 일어나고, heart의 박동이 느려져서 대체로 에너지의 사용이 줄어 든다.